사업분야Field of Business

상담문의

02-6956-6011 AM 9:00 - PM 6:00
토/일/공휴일 휴무

> 사업분야 > 아웃소싱
아웃소싱
프로세스

01

도입에 관한 의사 결정 (경영층): 아웃소싱 실현에 대한 의사 결정을 한다.
  • 경영 정략상 아웃소싱이 필요한 가에 대한 판단 (경영층 차원)
  • 즉, 경영 전략상 어느 분야에 어느 정도의 경영자원을 집중 시킬 것인가를 결정
  • 집중 역량이 아닌 부분에 대해서 아웃소싱 도입에 대한 전반 적인 검토

02

Outsourcing TF Team 구성: 아웃소싱 가능한 분야에 대한 내부 파악을 한다.
  • 어떠한 부분에 대한 아웃소싱이 가능한 자에 대한 List Up
  • 대상분야에 대해서 업무량, 인원수, 정형업무인지 비정형 업무인지에 대한 파악
  • 성공적인 아웃소싱을 위해서 1차 전문가 집단과 Meeting도 필요

03

Outsourcing 가능여부 분석: Consultant를 통해서 아웃소싱이 가능한 지에 대한 Check를 한다.
  • 1차 대상이 된 업무에 대해서 아웃소싱 전문가와 함께 아웃소싱 가능 여부 검토
  • 업무, 대가, 현장관리자, 노무관리, 공간 및 기자재, 도입여건등의 Check List를 통하여 원활한 도입이 가능한지 분석
  • 고배점이 나올수록 아웃소싱을 도입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없음.

04

Outsourcing 기대 효과 분석:비용, 성과등을 분석하여 실제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.
  • 아웃소싱이 가능하다고 판단이 되면 이에 따른 기대 효과를 Simulation 해 본다.
  • 비용 절감 기대치, 인원의 구조조정에 대한 효과 및 영향, 노사 간 고려해야 할 점 등에 대한 분석을 한다.
  • 제일 중요한 것은 아웃소싱 대상업무의 생산성이 저하 되어서는 안된 다는 점이다.

05

Outsourcing 수행 확정:정확한 업무 분야 및 회사 방침을 확정한다.
  • 회사가 지양해야 될 목표와 방향성을 확정 한다.
  • 아웃소싱 도입업무 분야에 대한 최종확정을 하고 그에 따른 정형과 작업을 한다.
  • 직접 고용한 직원이 있는 분야에서는 직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다.

06

Outsourcing Company Bidding:업체의 능력평가, 가격제안, 운영방안등을 고려한 Bidding을 한다.
  • 해당 업무에 대한 아웃소서를 복수로 선정을 한다. (시장 지명도, 자체조사, 타사사례등)
  • 경영능력, 품질력, 재무안정성, 관련 실적, 서비스 제안 등 주요평가 항목에 대한 배점을 기준을 마련한다.
  • 회사 기초자료, 제안자료, 프리젠테이션등 복합적인 평가로 업체를 선정한다.

07

계약체결:일반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SLA, 보안(기밀)유지, 가격, 서비스 이전,A/S등이 포함된다.
  • 계약서에는 아웃소싱 업무의 범위가 정확히 명기되어 있어야 한다.
  • 그 외에 SLA, 기밀(보안)유지, 업무 성과물 전달 방법등이 내용에 있어야 한다.
  • 이 단계에서 양사간 원활한 아웃소싱을 하기 위한 협의회 구성도 되어야 한다.

08

Outsourcing Service 개시:기본적인 인원선발,업무 Process 정립, 시험 운영 등의 과정이 끝나면 Service시작한다.
  • 계약에 따라 아웃소싱 회사는 현장관리자를 선임을 하고 아웃소싱 서비스를 시작 한다.
  • 별도의 장비와 공간일 투입하지 않고 인계를 받는 경우에는 유/무상 임대 계약서를 작성한다.
  • 실행에 따른 갖가지 오류 및 개선 사항을 Check 한다.

09

Feedback:운영결과에 따라 개선/보완한다.
  • 양사간 함의된 아웃소싱 협의회를 통해서 아웃소싱 수행에 따른 여러가지 결과를 논의 한다.
  • 처음의 기대와 같은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가에 대한 산출적인 형태의 평가를 한다.
  • 당초의 기대에 벗어나는 결과에 대해서 상호 원인을 파악하고 대화를 통하여 개선을 하도록 노력한다.